전력전자/전력전자의 기본 2

교류 이해하기 - 실횻값과 평균값

안녕하세요. 교류의 크기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어떤 지푯값을 사용할까요? 이번 포스팅에서는 교류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하는 실횻값과 평균값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^^ 그 전에 직류나 교류에 대해 궁금하다면 다음 링크 참고해주세요^^ 직류(DC)와 교류(AC) 이해하기 ■ 실횻값 [Root-mean-square value, RMS value] ▶ 정의 교류 전류나 교류 전압을 수치상으로 표현하고 싶을 때, 보통 실횻값을 사용하는데요. 쉽게 말하면 교류의 실횻값은 우리가 어느 정도의 전력을 공급하는 지 알기 위해서 직류 값으로 표현하는 수단이에요! 예를 들어, 단순한 저항 회로에 어떠한 교류 전압 Vac를 흘렸을 때와 직류 전압 Vdc를 흘렸을 때 소비된 전력이 같다면 Vac와 Vdc의 실횻값은 같다고 표현할 ..

직류(DC)와 교류(AC) 이해하기

안녕하세요. 전력 변환을 기본으로 하는 학문인 전력전자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직류(DC)와 교류(AC)에 대해서 꼭 알아야 합니다! 이번 포스팅에서는 직류와 교류의 정의, 특징, 응용 분야를 다뤄보겠습니다^^ ■ 직류 [Direct Current, DC] 1. 정의 직류는 시간에 따라 극성이 변하지 않는 전류입니다. (크기는 변할 수 있음) 2. 특징 에너지 저장이 가능합니다. 주파수가 없어서 교류에 비해 송전 효율이 높습니다. 해석이 간단하여 엔지니어 입장에서 설계하기에 더 쉽습니다. 변압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. 영점이 존재하지 않아 전류 차단이 어렵습니다. 3. 응용 분야 여기서 말하는 전하는 무엇인지, 그리고 어떠한 이유로 전하가 흐르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저장 장치 (배터리) 각종 IC 및..